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연혁

영상물등급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966년 1월 27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로 출발하여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위원회,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등을 거쳐
1999년 6월 7일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2024

      • 제9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청소년관람불가 등급 연령기준 변경(18→19세)
  • 2023

    • 2023.07
      • 일본 비디오물 등급분류관련 정책변경(일본 비디오물의 사전등급분류 및 자체 등급분류 허용)
    • 2023.06
      • 온라인 비디오물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지정(9개)
    • 2023.03
      • 온라인 비디오물 자체등급분류 제도 도입, 시행
  • 2021

      • 제8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비디오물 등급 및 내용정보 표시제도 변경(연령등급, 내용정보 픽토그램 변경)
  • 2019

      • 위원회 CI 변경
      • 사무국 조직개편(5부 2팀 체제→2부 1센터 4팀)
  • 2018

      • 제7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2016

    • 2016.10
      • 영화 및 비디오물 등급분류 기준 개정
    • 2016.06
      • 영상물등급위원회 창립 50주년
  • 2014

      • 제6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2013

    • 2013.09
      • 위원회 청사이전(부산 해운대구)
    • 2013.03
      • 온라인 등급분류 종합지원시스템(ORs) 개통
  • 2012

    • 2012.09
      • 전문위원제 도입 및 등급분류 기준 세분화(33개 조항 → 117개 조항)
    • 2012.08
      • 온라인 뮤직비디오 등급분류 실시
  • 2011

      • 제5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청소년 영상물 건전이용 프로그램 운영
  • 2009

    • 2009.11
      • 영비법 개정·시행
        •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 위촉을 대통령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변경
        • 영상물 내용정보표시제도 법제화
        • 영화 제한상영가 등급분류 기준 구체화
        • 비디오물 제한관람가 등급 신설
  • 2008

      • 제4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영화 제한상영가 등급 헌법 불합치 결정
  • 2006

    • 2006.10
      • 위원회 설립근거 변경(음비게법 제5조 → 영비법 제71조)
      • 온라인 영상물 사전 등급분류제 실시
      • 게임물 등급분류 업무 분리(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수행)
  • 2005

      • 제3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2002

      • 영화 등급보류제도 폐지 및 제한상영가 등급 신설
      • 온라인게임물에 대한 사전등급분류 강화
      • 제2기 영상물등급위원회 출범
  • 2001

      • 위원회 설립근거 변경(공연법 → 음비게법 제5조)
      • 외국 비디오물·외국 게임물 수입·반입추천 폐지
      • 영화 등급분류 보류제도 위헌 결정
  • 1999

    • 1999.06.07
      • 영상물등급위원회 발족
      • 공연물 사전 각본심의제 폐지, 외국인에 대한 국내공연 추천
      • 비디오물·게임물에 사전심의제 → 등급분류 및 보류제도 전환
      • 음반에 대한 연소자 이용불가여부 결정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966년 1월 27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로 출발하여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위원회,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등을 거쳐
1999년 6월 7일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1998

      • 유기기구(아케이드게임물) 심의업무 수임
  • 1997

    • 1997.10.11
      •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발족
      • 공윤의 영화 사전심의 → 상영등급부여 제도로 변경
      • 문화체육부의 외국영화 수입추천권 수임
공연윤리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966년 1월 27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로 출발하여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위원회,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등을 거쳐
1999년 6월 7일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1996

      • 헌재, 공윤 영화 사전심의 위헌 판결
      • 외국음반·외국비디오물 수입·반입추천 업무 수임
  • 1995

      • 음반 사전심의 폐지
  • 1993

      • 새영상물(CD-R, CD-I 등 신매체) 심의
  • 1988

      • 연극 등 무대물 심의 폐지
  • 1986

    • 1986.02.20
      • 공연윤리위원회로 명칭 변경
한국공연윤리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966년 1월 27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로 출발하여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위원회,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등을 거쳐
1999년 6월 7일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1986

      • 외국영화 수입심의 및 예고편·광고영화 심의
  • 1981

      • 비디오물 심의 수정
  • 1979

      • 영화 심의
  • 1976

    • 1976.05.12
      • 한국공연윤리위원회 발족
      • 연극대본, 영화각본, 음반의 가사·악보 심사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는 1966년 1월 27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로 출발하여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위원회,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등을 거쳐
1999년 6월 7일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1970

      • 극영화 시나리오의 사전심의
  • 1966

    • 1966.01.27
      •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 무대작품 및 가요음반의 가사·악보 심사

만족도아이콘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